내과internal medicine

성인 대사 클리닉

당뇨병

원인
  • 인슐린 부족또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발생
  • 가족력, 비만, 노화, 임신, 감염, 스트레스, 약물 남용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가능
진단방법
  • 요당 검사 : 요당이 검출되어도 당뇨병을 확진할 수 없음
  • 혈당 검사 : 공복 혈당 126mg/dL 이상 / 식후 2시간 혈당 200mg/dL 이상
  • 75g 포도당 부하 검사 : 정확한 진단을 위해 공복 혈당 후 75g 포도당을 섭취하고 1시간, 2시간 후 혈당 측정
  • 당화혈색소 측정 : 6.5% 이상일 경우 당뇨병 의심
합병증
  • 협심증, 심근경색, 만성 콩팥병, 말초신경병증, 자율신경병증, 당뇨발 등 발생 가능
  • 철저한 혈당 조절로 예방 가능

비만

체질량지수(BMI)로 비만 진단
  • BMI = 체중(kg) / 키(m²)
  • 이상적 BMI = 22, 25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
BMI 분류
  • 저체중 : BMI < 18.5 (건강 문제 증가)
  • 정상 : BMI 18.5 ~ 22.9
  • 과체중 : BMI 23 ~ 24.9
  • 비만 : BMI ≥ 25
비만의 위험성
  • 고혈압, 당뇨병, 고지혈증, 심근경색, 지방간 등 다양한 건강 문제 유발
  • 여성: 생리불순 및 불임 위험 증가
  • 남성: 정자 감소증 등 생식기능에 영향
  • 정서적 문제: 불안, 우울증 등
  • 암 발생률 증가: 비만으로 인한 만성 염증
치료 및 생활수칙
  • 인바디 측정으로 비만 진단 후, 식사요법, 운동요법으로 체중 및 체지방 감소
  • 단기 약물요법및 보조요법 사용 가능
  • 꾸준한 생활방식 변화가 중요

고혈압

정상 혈압
  • 120/80 mmHg
고혈압 진단 기준
  • 수축기 혈압 ≥ 140 mmHg
  • 이완기 혈압 ≥ 90 mmHg
진단
  • 혈압 측정 2회 이상, 혈액검사, 심전도, X-ray, 소변검사 등 추가 검사 필요
합병증
  • 뇌, 심장, 신장 등에서 합병증 발생률 증가
  • 꾸준한 약물요법, 식습관 및 생활습관 변화로 예방 가능

고지혈증

진단 기준
  • 총 콜레스테롤 > 240 mg/dL
  • 중성지방 > 200 mg/dL
고지혈증의 합병증
  • 동맥경화, 심근경색, 협심증, 뇌졸중, 췌장염 등
치료 및 생활수칙
  • 식이요법 : 지방 섭취를 20~35% 이하로 조절, 포화지방산 섭취 줄이기
  • 운동요법 : 유산소 운동(걷기, 조깅, 수영 등) 및 근력 운동
  • 약물요법 : 식이 및 운동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 필요

지방간

종류
  • 알콜성 지방간
  • 비알콜성 지방간(비만, 당뇨, 스테로이드 등 원인)
진단
  • 상복부 초음파와 간기능검사로 진단
치료
  • 약물 치료로 간염 치료 후, 체중 감량 및 기저질환(당뇨, 고지혈증 등) 교정 필요
  • 간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유지 관리가 중요